서프랑크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프랑크 왕국은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프랑크 왕국이 분할되면서 성립되었으며, 카롤루스 2세가 초대 왕이 되었다. 870년 메르센 조약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으나, 지방 분권화로 왕권이 약화되었다. 카롤루스 3세 시기에는 프랑크 왕국이 잠시 재통합되기도 했으나, 파리 공방전에서의 무능함으로 몰락했다. 이후 로베르 가문의 부상과 공작령의 성장을 겪으며 왕권은 더욱 쇠퇴했고, 단순왕 샤를 시대에는 노르만족과 마자르족의 침입으로 혼란을 겪었다. 루돌프, 루이 4세 시대를 거쳐 로테르와 루이 5세에 이르러 위그 카페가 왕으로 선출되면서 카롤링거 왕조가 끝나고 카페 왕조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43년 설립 - 중프랑크 왕국
중프랑크 왕국은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성립되어 북해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영토를 차지했으나, 분열과 국경 변동을 겪다가 신성로마제국에 흡수되었다. - 843년 설립 - 동프랑크 왕국
동프랑크 왕국은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프랑크 왕국이 분열될 때 루트비히 2세가 상속받은 게르만어 사용 지역 중심의 국가로, 카롤링거 왕조 단절과 작센 왕조를 거쳐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11세기 이후에는 독일 왕국으로 불리게 되었다. - 프랑크 왕국 - 중프랑크 왕국
중프랑크 왕국은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성립되어 북해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영토를 차지했으나, 분열과 국경 변동을 겪다가 신성로마제국에 흡수되었다. - 프랑크 왕국 - 교황령
교황령은 교황이 세속 권력을 행사하며 통치했던 국가로, 콘스탄티누스 1세의 기증으로 시작되어 군주제 국가가 되었으나 1870년 멸망 후 바티칸 시국으로 축소, 1929년 라테라노 조약으로 범위가 확정되었다. - 프랑스의 역사 - 삼부회
삼부회는 프랑스에서 성직자, 귀족, 평민 대표로 구성된 신분제 의회로, 국왕의 과세 동의 기능을 수행하며 왕권 강화에 기여했으나, 프랑스 혁명 직전 소집 후 의결 방식 갈등으로 국민 의회 결성되어 해체되고 프랑스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 프랑스의 역사 - 프랑스 제4공화국
프랑스 제4공화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립되어 의회 권한이 강력한 양원제 공화정 체제였으나, 정치적 불안정과 식민지 문제에 직면하여 군부 쿠데타로 붕괴하고 프랑스 제5공화국으로 대체되었다.
서프랑크 왕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일반 명칭 | 서프랑크 왕국 |
시대 | 중세 |
지위 | 프랑크 왕국의 서부 잔존국 |
존속 기간 | 843년 ~ 987년 |
현재 국가 | 안도라 프랑스 룩셈부르크 스페인 벨기에 |
별칭 | 서프랑크, 서프랑크인 |
정치 | |
정치 체제 | 절대 군주제 |
의회 | 없음 (칙령 통치) |
수도 | 랑 |
국왕 | 샤를 2세 (초대) 루이 5세 (마지막) |
통치 기간 | 샤를 2세: 843년–877년 루이 5세: 986년–987년 |
언어 | |
공용어 | 중세 라틴어 |
사용 언어 | 고대 프랑스어 오크어 고대 네덜란드어 (Old Low Franconian) |
종교 | |
국교 | 로마 가톨릭교회 |
통화 | |
통화 | 데나리우스 |
역사 | |
주요 사건 | 베르됭 조약: 843년 8월 메르센 조약: 870년 8월 생클레르쉬르엡트 조약: 911년 8월 카펠 왕조 설립: 987년 6월 |
이전 | 프랑크 왕국 |
이후 | Regnum Francie 증명: 1205년 6월 |
2. 형성과 경계
카롤루스 대제가 서유럽을 통일한 프랑크 왕국은 대제의 사후 내부 분쟁으로 인해 국가 분열의 위기에 놓였다. 제국 분열을 막기 위해 여러 차례 제국 정리령이 내려졌지만 효과를 보지 못하고, 843년 루트비히 1세가 사망한 후, 그의 세 아들이 베르됭 조약을 통해 제국을 분할했다. 제국 서부의 옛 로마 속주 갈리아 지방에 서프랑크 왕국이, 이탈리아 반도 북부를 중심으로 중프랑크 왕국이, 그리고 제국 동부의 게르마니아 지방에 동프랑크 왕국이 성립했다.
서프랑크 왕국의 초대 왕은 샤를 2세로, 대머리왕이라고도 불린다. 샤를 2세는 아키텐을 차지하기 위해 피피누스 2세와 지속적인 분쟁을 벌였다. 초기에는 왕권이 약하여 지방 분권화가 진행되었으며, 이후 메르센 조약을 통해 로타링기아 서부를 획득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875년에는 카를 2세가 로마 황제로 대관되었다.
9세기 후반 서프랑크 왕국의 역사는 《베르티니아니 연대기》(882년까지), 《베다스티니 연대기》(882~900년), 《플로도아르 연대기》(919년 이후) 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28]
2. 1. 베르됭 조약과 서프랑크 왕국의 성립 (843년)
루이 경건왕이 840년 6월 20일에 사망한 후 3년간의 내전이 이어진 끝에, 843년 8월 그의 세 아들들에 의해 베르됭 조약이 체결되었다. 막내 아들인 카롤루스 2세 칼부스는 서프랑크를 상속받았다. 당대의 서프랑크 연대기인 《베르티니아니 연대기》는 샤를이 베르됭에 도착하여 "영토의 분배"가 이루어진 과정을 설명한다. 그의 형제인 로타리우스 1세(중프랑크)와 루도비쿠스 2세 게르마니쿠스(동프랑크)의 영토가 언급된 후, "스페인까지의 나머지 지역은 샤를에게 양도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3] 동프랑크의 연대기인 《풀다 연대기》는 샤를이 왕국이 "셋으로 나뉜" 후 서부 지역을 차지했다고 설명한다.[24]2. 2. 아키텐 문제와 왕국 초기 상황
루이 경건왕이 840년 6월 20일에 사망한 후, 3년간의 내전 끝에 843년 8월 베르됭 조약이 체결되었다. 카롤루스 2세는 서프랑크를 상속받았다.[23][24]838년 12월 아키텐 왕 피피누스 1세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피피누스 2세는 아키텐 귀족들에게 왕으로 인정받았지만, 황제의 승인은 받지 못했다. 카롤루스 2세는 840년 통치 시작부터 피피누스 2세와 전쟁을 벌였고, 베르됭 조약은 피피누스 2세의 계승권을 무시하고 아키텐을 카롤루스 2세에게 할당했다.[25]
845년 6월, 카롤루스 2세는 여러 전투에서 패배한 후 생 브누아 쉬르 루아르 조약을 체결하여 피피누스 2세의 통치권을 인정했다. 이 협정은 848년 3월 25일까지 유지되었으며, 그 이후 아키텐 귀족들은 카롤루스 2세를 왕으로 인정했다. 이후 카롤루스 2세는 군사적 우위를 점했고, 849년까지 아키텐 대부분을 확보했다.[26]
849년 5월, 카롤루스 2세는 오를레앙에서 "프랑크인과 아키텐인의 왕"으로 즉위했다. 상스 대주교 웬일로가 대관식을 주관했으며, 이 대관식은 서프랑크에서 왕에게 처음으로 기름부어진 첫 성유식이었다. 성유식은 왕권을 축성하는 것에 대한 네 개의 전례서를 기록한 랭스 대주교 힝크마르가 제안한 것으로 이해된다. 힝크마르는 카롤루스 2세가 서프랑크 왕국 전체에 성유를 받았다고 주장했다.[27]
2. 3. 메르센 조약과 영토 확장 (870년)
870년 메르센 조약을 통해 로타링기아 서부 지역을 획득하여 영토를 확장했다.[27]3. 카롤루스 3세 시대
884년 12월 12일, 카를로마누스 2세가 사망한 후, 서프랑크 귀족들은 동프랑크 왕국과 이탈리아 왕국의 왕이었던 그의 삼촌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를 서프랑크의 왕으로 선출했다.[29] 카롤루스 3세는 885년 5월 20일 그랑에서 "갈리아의 왕"(''rex in Gallia'')으로 대관식을 치렀을 것으로 추정된다.[13] 서프랑크 왕국의 왕으로서, 그는 브르타뉴의 반독립 통치자 알랭 1세에게 왕의 칭호와 왕관을 수여한 것으로 보인다.[14]
885년-886년 파리 공방전에서 바이킹에 대한 미흡한 대처는 카롤루스 3세의 위신을 크게 실추시켰다. 887년 11월, 그의 조카 아르눌푸스 카린티아이가 반란을 일으켜 동프랑크의 왕이 되었으며, 카롤루스 3세는 퇴위한 후 888년 1월 13일에 사망했다.
카롤루스 3세 사후, 파리 백작 외드는 귀족들에 의해 서프랑크의 새로운 왕으로 선출되어 다음 달에 즉위했다. 이 시점에서 서프랑크는 서쪽의 네우스트리아와 동쪽의 프랑키아 본토, 즉 뫼즈강과 센강 사이의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한편, 아키텐에서는 공작 라눌푸스 2세가 왕을 참칭했으나 2년 만에 사망했다.[15] 아키텐은 별도의 왕국이 되지는 않았지만, 서프랑크 왕들의 통제를 거의 받지 않았다.[2]
3. 1. 프랑크 왕국의 일시적 재통합 (884년-888년)
884년 12월 12일, 카를로마누스 2세가 사망한 후, 서프랑크 귀족들은 동프랑크 왕국과 이탈리아 왕국의 왕이었던 그의 삼촌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를 서프랑크의 왕으로 선출했다.[29] 루이 경건왕의 사망 이후 처음으로 모든 프랑크 왕국이 카롤루스 3세 하나의 통치자 아래 재통합된 시기였다. 서프랑크의 왕으로서 그는 브르타뉴의 통치자인 알랭 1세에게 왕의 칭호를 부여한 것으로 여겨진다.[30] 그러나 885년부터 886년까지의 파리 공방전에서 바이킹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는 비판으로 카롤루스 3세의 위신은 크게 떨어졌다. 얼마 지나지 않은 887년 11월, 조카 아르눌푸스 카린티아이가 반란을 일으켜 동프랑크의 왕이 되었으며, 카롤루스 3세는 퇴위한 후 888년 1월 13일에 사망했다.3. 2. 파리 공방전과 카롤루스 3세의 몰락
884년 12월 12일 카를로마누스 2세가 사망하자, 서프랑크 귀족들은 그의 삼촌이자 동프랑크 왕국과 이탈리아 왕국의 왕이었던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를 서프랑크의 왕으로 선출했다.[29] 그의 통치 기간은 루이 경건왕 사후 처음으로 모든 프랑크 왕국이 하나의 통치자 아래 재통합된 시기였다. 그러나 885년-886년 파리 공방전에서 바이킹에 대한 미흡한 대처로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의 위신은 크게 실추되었다. 887년 11월, 그의 조카 아르눌푸스 카린티아이가 반란을 일으켜 동프랑크의 왕이 되었으며, 카롤루스 3세는 퇴위한 후 888년 1월 13일에 사망했다.아키텐의 공작 라눌푸스 2세는 왕을 참칭했으나 2년 만에 사망했다.[31] 아키텐은 별도의 왕국이 되지는 않았지만, 서프랑크 왕들의 통제를 거의 받지 않았다.[32]
4. 로베르 가문의 부상
860년대 이후, 로타링기아의 귀족 강력공 로베르는 앙주, 투렌, 멘 백작으로서 권력이 강해졌다. 로베르의 형제인 생드니 수도원장 위그는 카롤루스 2세에 의해 아우스트라시아 통치를 맡았다. 로베르의 아들 오도는 888년에 왕으로 선출되었다.[16] 오도의 형제 로베르 1세는 922년부터 923년까지 통치했고, 923년부터 936년까지는 라울이 뒤를 이었다. 로베르 1세의 아들 위그 르 그랑은 루이 4세에게 "프랑크 공작" 칭호를 받았다. 987년 위그 르 그랑의 아들 위그 카페가 왕으로 선출되면서 카페 왕조가 시작되었으나, 이 시점에서 그들은 일 드 프랑스 외에는 거의 통치하지 못했다.
4. 1. 로베르 르 포르와 그의 가문
860년대 이후, 로타링기아의 귀족 로베르 르 포르가 앙주, 투렌, 멘의 백작으로 더 강력한 권력을 갖게 되었다.[16] 로베르의 형제인 생드니 수도원장 위그는 카롤루스 2세에 의해 아우스트라시아 경영권을 부여받았다. 로베르의 아들 오도는 888년에 왕으로 선출되었다.[16] 오도의 형제 로베르 1세는 922년부터 923년까지 통치했고, 이후 923년부터 936년 사이에는 라둘푸스 1세가 그 뒤를 이었다. 로베르 1세의 아들 위그 르 그랑은 루이 4세에 의해 "프랑크의 공작"으로 승격되었다. 987년 그의 아들 위그 카페가 왕으로 선출되면서 카페 왕조가 시작되었다.4. 2. 외드와 로베르 1세의 통치
860년대 이후, 로타링기아의 귀족 강력공 로베르는 앙주, 투렌, 멘 백작으로서 점점 더 강력해졌다. 로베르의 형제인 생드니 수도원장 위그는 카롤루스 2세에 의해 아우스트라시아의 경영권을 부여받았다. 로베르의 아들 외드는 888년에 왕으로 선출되었다.[16] 외드의 형제 로베르 1세는 922년부터 923년까지 통치했고, 923년부터 936년까지는 라울이 뒤를 이었다. 로베르 1세의 아들 위그 르 그랑은 루이 4세에 의해 "프랑크 공작" 칭호를 받았다. 987년 그의 아들 위그 카페가 왕으로 선출되면서 카페 왕조가 시작되었다.4. 3. 위그 르 그랑과 카페 왕조의 시작
860년대 이후, 로타링기아의 귀족 강력공 로베르는 앙주, 투렌, 멘 백작으로서 점점 더 강력해졌다. 로베르의 형제인 생드니 수도원장 위그는 카롤루스 2세에 의해 아우스트라시아 통치를 맡았다. 로베르의 아들 오도는 888년에 왕으로 선출되었다.[16] 오도의 형제 로베르 1세는 922년부터 923년까지 통치했으며, 923년부터 936년까지는 라울이 뒤를 이었다. 로베르 1세의 아들 위그 르 그랑은 루이 4세에 의해 "프랑크 공작" 칭호를 받았다. 987년 그의 아들 위그 카페가 왕으로 선출되면서 카페 왕조가 시작되었다. 이 시점에서 그들은 일 드 프랑스를 제외하고는 거의 통치하지 못했다.5. 공작령의 발흥
서프랑크 왕국에서 왕권은 바이킹에 저항하고, 왕이 임명하지 않고 세습된 지역 공작들의 부상에 저항할 수 없을 정도로 쇠퇴했다. 877년 이후, 부르고뉴, 아키텐, 브르타뉴, 가스코뉴, 노르망디, 샹파뉴, 플랑드르 등 프랑크 영토 밖과 남부 지역의 공작령이 성장하면서, 지역 귀족들은 반독립 상태가 되었다.
5. 1. 10세기 공작령의 성장
887년 이후 서프랑크 왕국 내에서는 부르고뉴, 아키텐, 브르타뉴, 가스코뉴, 노르망디, 샹파뉴, 플랑드르 등의 공작령이 성장하면서 지역 귀족들이 반독립적인 상태가 되었다.
왕권은 바이킹의 침입에 저항하고, 왕이 임명하지 않은 채 세습된 지역 공작들의 부상에 저항할 힘을 잃으면서 계속 쇠퇴했다. 877년 프로방스의 보소는 대머리왕 샤를의 매형이었는데, 스스로 부르고뉴와 프로방스의 왕을 칭했다. 그의 아들 눈먼 루이는 890년부터 프로방스의 왕이었고, 901년부터 905년까지는 황제였다. 부르고뉴의 루돌프 2세는 933년에 부르고뉴 왕국을 세웠다.
5. 2. 왕권 약화와 지방 귀족의 부상
887년 이후 오래된 프랑크 영토 밖과 남부 지역에서는 부르고뉴, 아키텐, 브르타뉴, 가스코뉴, 노르망디, 샹파뉴, 플랑드르 등의 공작령이 생겨나면서 지역 귀족들이 반독립 상태가 되었다.
바이킹의 침입과 왕권의 무능력으로 인해 지역 귀족들의 권력이 강화되었다. 877년 대머리왕 샤를의 매형이었던 프로방스의 보소는 스스로를 부르고뉴와 프로방스의 왕으로 칭했다. 그의 아들 눈먼 루이는 890년부터 프로방스의 왕이었고, 901년에서 905년 사이에는 황제였다. 933년에는 부르고뉴의 루돌프 2세가 부르고뉴 왕국을 세웠다.
6. 단순왕 샤를 시대
동프랑크 왕국의 마지막 카롤링거 왕인 어린 루이가 죽은 후, 로트링기아는 서프랑크 왕국의 왕인 단순왕 샤를에게 충성을 바쳤다. 샤를이 실제로 통치하는 영토는 상당히 줄어들어 노르망디와 루아르 강 사이의 땅으로 축소되었고, 왕실은 보통 랭스나 라옹에 머물렀다.[17]
924년과 926년에 마지막 데네겔트를 지불하며 노르만족의 위협은 종식되었다. 로베르 1세가 923년에 죽은 후 귀족들은 라울을 왕으로 선출했고, 샤를은 929년 사망할 때까지 감금되었다.
6. 1. 로트링기아 문제
어린 루이가 사망한 후, 로트링기아는 서프랑크 왕국의 왕인 단순왕 샤를에게 충성을 바쳤다.[17] 911년 이후 슈바벤 공국은 서쪽으로 확장되어 알자스 지역을 추가했다.[17]6. 2.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2세의 성장
플랑드르의 보두앵 2세는 898년 오도 사후에 더욱 강력해져 단순왕 샤를로부터 불로뉴와 테르누아를 얻었다.[17]6. 3. 노르만족의 정착과 마자르족의 침입
919년부터 마자르족이 반복적으로 침략하였고, 노르만족은 노르망디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강력한 왕권이 부재한 상황에서, 부르고뉴의 리샤르나 노스트리아의 로베르와 같은 지역 귀족들이 침략자들을 격퇴했다. 911년 샤르트르 전투에서 바이킹 지도자 롤로가 패배했다.[17] 924년과 926년에 마지막 데네겔트를 지불하며 노르만족의 위협은 종식되었다. 단순왕 샤를에 반대하던 두 귀족은 922년 그를 폐위시키고 프랑스의 로베르 1세를 새로운 왕으로 선출했다. 923년 로베르 1세가 죽은 후, 귀족들은 라울을 왕으로 선출했고, 샤를은 929년 사망할 때까지 감금되었다. 단순왕 샤를의 통치 이후, 지역 공작들은 자체적인 화폐를 발행하기 시작했다.[17]
7. 루돌프 시대
루돌프는 흑공작 휴와 로베르 1세의 아들 위그 르 그랑의 지원을 받았다. 노르망디 공작들은 933년까지 루돌프를 인정하지 않았다. 루돌프는 남부 귀족들로부터 충성과 존경을 받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이동해야 했지만, 바르셀로나 백작은 이를 완전히 피했다.
925년 이후 루돌프는 베르망두아의 에르베르 2세와 전쟁을 벌였다. 에르베르 2세는 동프랑크 왕국의 사냥꾼 하인리히와 오토 1세의 지원을 받았다. 에르베르 2세의 반란은 943년 그가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다.
7. 1. 루돌프의 즉위와 지지 세력
왕 루돌프는 그의 형제 흑공작 휴와 로베르 1세의 아들 위그 르 그랑의 지원을 받았다. 노르망디 공작들은 933년까지 루돌프를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국왕은 남부 귀족들로부터 충성과 존경을 받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이동해야 했지만, 바르셀로나 백작은 이를 완전히 피할 수 있었다.7. 2. 베르망두아 백작과의 전쟁
925년 이후 루돌프는 베르망두아의 에르베르 2세의 반란으로 전쟁을 벌였다. 에르베르 2세는 동프랑크 왕국의 사냥꾼 하인리히와 오토 1세의 지원을 받았다. 에르베르 2세의 반란은 943년 그가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다.7. 3. 남부 귀족들과의 관계
왕 루돌프는 그의 형제 흑공작 휴와 로베르 1세의 아들 위그 르 그랑의 지원을 받았다. 노르망디 공작들은 933년까지 루돌프를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국왕은 남부 귀족들로부터 충성과 존경을 받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이동해야 했지만, 바르셀로나 백작은 이를 완전히 피할 수 있었다.8. 루이 4세 시대
에르베르 2세가 추가적인 승리를 거둔 이후, 루이 4세는 대귀족과 오토 1세의 도움으로 겨우 권력을 유지했다. 942년 루이 4세는 로타링기아를 오토 1세에게 넘겨주었다.[1]
8. 1. 루이 4세와 오토 1세 가문의 관계
서프랑크 왕국의 루이 4세와 위대한 공작 위그 르 그랑은 동프랑크 왕국의 왕 오토 1세의 누이들과 결혼했다. 이들은 남편이 죽은 후, 쾰른의 브루노 대주교인 오빠와 함께 카롤링거 왕조와 로베르 왕조의 통치를 섭정으로서 이끌었다.[1]8. 2. 노르망디 계승 분쟁과 루이 4세의 위기
노르망디 계승 분쟁으로 새로운 전쟁이 일어났고, 이 과정에서 루이 4세는 위그 르 그랑에게 배신당해 덴마크 왕자 하랄에게 붙잡혔다. 하랄은 결국 루이 4세를 위그의 감시하에 풀어주었고, 위그는 랭을 보상으로 받은 후에야 루이 4세를 석방했다.[1]9. 마지막 카롤링거 왕: 로테르와 루이 5세
로테르 4세는 954년 13세의 나이로 아버지의 영토를 모두 상속받았다. 그러나 영토가 작아 카롤링거 왕조의 영토 분할 관례는 지켜지지 않았고, 동생 샤를은 아무것도 받지 못했다. 로테르는 966년 엠마와 결혼했다. 978년부터 980년까지 오토 2세와 프랑코-독일 전쟁을 벌였다. 위그 카페가 성장하면서, 귀족 동맹을 결성했고, 987년 로테르와 루이 5세가 사망한 후 왕으로 선출되었다. 이는 카롤링거 왕조와 서프랑크 왕국의 종말을 의미했으며, 카페 왕조가 시작되어 중세 성기 동안 프랑스를 통치하게 되었다.[1]
9. 1. 로테르의 통치와 프랑코-독일 전쟁 (978년-980년)
13세의 로테르 4세는 954년에 아버지의 모든 영토를 상속받았다. 당시 영토가 너무 작아져서, 아들들에게 영토를 분할해주는 카롤링거 왕조의 관례는 지켜지지 않았고, 그의 동생 샤를은 아무것도 받지 못했다. 966년 로테르는 외삼촌 오토 1세의 의붓딸인 엠마와 결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978년 8월 로테르는 옛 제국의 수도 아헨을 공격했다. 오토 2세는 파리를 공격하여 보복했지만, 로테르 왕과 귀족 연합군에게 패배했고, 980년에 평화가 조인되어 짧은 프랑코-독일 전쟁이 종결되었다.9. 2. 위그 카페의 등장과 카롤링거 왕조의 종말
로테르 4세는 자신의 권력을 증대시키는 데 성공했지만, 위그 카페가 성년이 되면서 모든 것이 뒤집혔다. 위그 카페는 새로운 귀족 동맹을 결성하기 시작했고, 결국 로테르와 그의 아들, 후계자 루이 5세가 모두 요절한 후인 987년에 왕으로 선출되었다.[1] 이는 전통적으로 프랑스 카롤링거 왕조의 종말이자 서프랑크 왕국의 종말을 의미했다.[1] 위그 카페는 카페 왕조의 첫 번째 통치자가 되었으며, 카페 왕조는 중세 성기를 거쳐 프랑스를 통치하게 된다.[1]10. 역대 국왕
이름 | 재위 기간 |
---|---|
샤를 2세 | 843년–877년 |
루이 2세 | 877년–879년 |
루이 3세 | 879년–882년 |
카를로만 2세 | 879년–884년 |
샤를 3세 | 884년–888년 |
오도 | 888년–898년 |
샤를 3세 | 893년–923년 |
로베르 1세 | 922년–923년 |
라울 | 923년–936년 |
루이 4세 | 936년–954년 |
로테르 | 954년–986년 |
루이 5세 | 986년–987년 |
참조
[1]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3, C.900-c.102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2]
문서
[3]
웹사이트
Kingdom of West Francia
https://www.worldhis[...]
2023-12-16
[4]
서적
Popular History of France: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Death of Louis XIV.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and Company
1876
[5]
서적
Politique et histoire au Moyen Age
https://books.google[...]
FeniXX réédition numérique
1981
[6]
서적
Renaissance France at War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Fra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05-28
[17]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3, C.900-c.102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8]
문서
[19]
웹인용
Kingdom of West Francia
https://www.worldhis[...]
2023-12-16
[20]
서적
Popular History of France: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Death of Louis XIV.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and Company
1876
[21]
서적
Politique et histoire au Moyen Age
https://books.google[...]
FeniXX réédition numérique
1981
[22]
서적
Renaissance France at War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